자주 나오는 기억하면 좋은 응답 에러 코드
-404: 요청한 url을 찾을 수 없는 경우
-500: 서버측 내부의 오류 (코드의 오류)
-503: 서버과부
예외처리방법
1. 직접 예외 처리하기
2. 예외를 처리할 페이지 지정하기
<%@ page language="java" contentType="text/html; charset=EUC-KR"
pageEncoding="EUC-KR"%>
<%@ page isErrorPage="true" %><!-- 예외페이지 선언 -->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EUC-KR">
<title>Insert title here</title>
</head>
<body>
<div>
<b>예기치 못한 예외가 발생했습니다. 다시시도하세요</b>
<a href = "../request/basic.jsp">홈으로</a>
</div>
</body>
</html>
<%@ page language="java" contentType="text/html; charset=EUC-KR"
pageEncoding="EUC-KR"%>
<%@ page errorPage="error_view.jsp" %>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EUC-KR">
<title>Insert title here</title>
</head>
<body>
<%
String aaa = (String)session.getAttribute("aaa");
///aaa가 null이라 에러
aaa.charAt(0);
%>
</body>
</html>
page errorPage = "error_view.jsp"로 지정되어있어서 에러가뜨면 기본값이 아닌 error_view.jsp로 간다
error pager 를 따로 작성하고 , 지시자태그를 사용합니다.
3. 응답 상태 별로 에러 페이지 지정하기
web.xml 에 넣고 에러페이지를 작성한다.
즉 jsp파일 내의 지시자 태그 -> 에러타입 페이지 -> 응답 상태 페이지 순으로 진행된다.
순서는 기억해서 원하는 페이지를 띄울 수 있게 하자.